본문 바로가기
  • 세상은 아는만큼 보인다
  • 알게되면 보이나니
★세상사는이야기/생활정보

일자리 넘치는 日, 韓청년 모셔간다

by 미운 오리 2017. 4. 4.
728x90
반응형



서울 소재 대학에서 디자인 관련 학과를 졸업한 김홍익 씨(28)는 일본 인터넷 대기업 DMM닷컴에서 무역 업무를 맡고 있다. 한국 기업에 지원했을 때는 '전공 제한'에 걸려 번번이 떨어졌지만 전공 제한이 거의 없는 일본 기업에서 기회를 찾았다. 김씨는 "한국 등 해외 제품 수입 업무를 맡았고, 최근에는 웹디자인 업무도 하고 있다"며 "정시 퇴근에다 괜찮은 일도 맡겨줘 재미있다"고 만족스러워했다. 

일본 금융회사 오릭스그룹에는 현재 27명의 한국인 직원이 근무 중이다.

올해 4월 입사 예정자 중에는 한국 대졸자 3명이 포함돼 있다. 와키 마유미 인사부 인재개발팀장은 "일본에서는 최근 3년 동안 우수 인재를 뽑기 위한 (기업들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며 "한국 대졸자들은 어학뿐만 아니라 모든 업무에 적극적이고 열성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강점"이라고 평가했다. 오릭스는 내년에도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한국 대졸자를 선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졸 취업률이 거의 100%에 달해 기업 인사 담당자들이 우수 인재를 모셔가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일본 취업 시장. 반면 대학 4년 내내 스펙 전쟁을 벌이고도 열정페이 인턴 자리조차 얻기 힘든 한국의 취업 시장. 극명한 대조를 보이는 한일 취업 시장이 하나로 묶이고 있다. 최근 들어 한국 대졸자를 찾아나선 일본 기업 인사 담당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를 기회 삼아 일본 기업에서 미래를 찾는 한국 대졸자도 부쩍 증가했다. 

한국 대졸 인재에 대한 일본 기업의 관심은 최근 1~2년 사이에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일본의 대졸 취업률이 무려 97.3%(2016년 기준)에 달해 우수 인재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는 데다 글로벌 인재 채용 수요가 부쩍 늘어난 것이 주원인으로 꼽힌다. 

실제 한국 대졸자를 뽑기 위해 취업박람회에 참여하는 일본 기업은 해마다 급증하는 추세다. KOTRA 글로벌 취업박람회에 참여한 일본 기업은 2013년 21곳에 불과했지만 작년에는 84곳으로 3년 만에 4배나 늘었다. 올해 5월에 열릴 박람회에 참가를 신청한 기업은 벌써 100곳이 넘었다. 

강민정 KOTRA 도쿄무역관 담당차장은 "한국 학생을 뽑아본 일본 기업들은 만족도가 높아 다시 참여하고, 또 다른 기업에 입소문이 나면서 매년 늘고 있는 추세"라고 전했다. 



자연스레 한국 청년들의 일본 취업 사례도 늘고 있다.


 정부 지원을 통해 일본 취업에 성공한 인원은 2014년 339명에서 지난해 1103명으로 3배가량 늘었다. 특히 정보기술(IT)과 사무·서비스(무역과 관광서비스 등)가 90%를 차지했다. 워킹홀리데이까지 포함하면 올해 1월 기준 4만8121명의 한국인이 일본에서 근무 중이다.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이 중 전문·기술 분야 종사자 수가 43.5%(2만937명)에 달해 중국(24.4%) 베트남(7.2%) 등에 비해 질 좋은 직장에 다니는 한국 사람이 많다는 분석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