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수출액이 통관 기준 489억 달러로 지난해 3월보다 13.7% 증가했다고 밝혔다.
수출액 기준으로 보면 지난 2014년 12월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대 실적이다. 우리나라 수출은 지난 2011년 12월 이후 5년3개월 만에 5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완연한 회복세를 보였다.
두 자릿수 증가율은 3개월 연속 이어갔는데 이는 지난 2011년 9월 이후 5년 6개월 만이다.
일 평균 수출은 4개월 연속 증가해 지난 2015년 5월 이후 최대인 20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물량과 국내기업의 수익성과 직결되는 원화표시 수출은 각각 5.9%와 8.5% 늘었다.
품목별로 보면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평판디스플레이·석유화학·석유제품·일반기계·자동차 등 8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75억달러)·OLED(7억2000만달러)·화장품(4억5000만달러)은 사상 최대 수출 기록을 세웠다.
반도체는 스마트폰이 프리미엄 제품에서 중저가 제품까지 고 사양화됨에 따라 D램 주력 품목이 DDR3에서 고가인 DDR4 4Gb로 변경되는 등 수출단가와 물량 호조로 3개월 연속 사상 최대 수출실적을 경신했다.
석유화학(40억9000만달러)과 석유제품(30억8000만달러)도 수출단가 상승 등에 힘입어 호조세를 보였다. 반면 컴퓨터·차부품·철강·가전·무선통신기기 등 5개 품목은 고전했다.
가전은 해외공장 생산확대, 무선통신기기는 갤럭시 S8의 글로벌 출시 시기 변동 등이 영향을 미쳤다.
지역별로는 베트남·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중국·일본·독립국가연합(CIS)·인도·중남미로의 수출이 꾸준히 늘었고 중동 수출은 증가세로 전환됐다. 이 중 아세안(84억5000만달러)과 인도(13억7000만달러) 수출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국 수출은 지난 2014년 4월 이후 2년 11개월 만에 5개월 연속 늘어난 반면 미국 수출은 무선통신기기과 차 부품 등의 부진으로 전월 대비 5.3% 줄었다.
지난달 수입액은 423억 달러로 26.9% 증가해 금액 기준으로 지난 2014년 12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입은 지난 2011년 12월 이후 5년3개월 만에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로 2014년 9월 이후 2년6개월 만에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무역수지 흑자는 66억 달러로 62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기록했다.
3월을 포함한 올해 1분기 수출액은 1324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9% 늘었다.
이는 지난 2011년 3분기 이후 22분기 만에 최대 증가율로 2014년 4분기 이후 9분기 만에 2분기 연속 수출 증가를 기록했다.
산업부는 최근 수출 회복세가 공고화되고 수출구조 혁신의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면서 이 달 수출도 현재의 회복 기조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다만,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환율 변동성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하방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관련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수출기업의 현장애로를 집중적으로 타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상사는이야기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뱅크’ 출범 - 지점 없는 은행서비스 새 길 (0) | 2017.04.03 |
---|---|
불법대부업체 피해 줄이는 사전확인 5계명 (0) | 2017.04.01 |
[인터넷은행] 계좌 서비스에 모바일 콘텐츠로 이자 지급까지 (0) | 2017.04.01 |
휘발유·경유 가격 7주째 하락..당분간 약세 지속 (0) | 2017.04.01 |
5대 시중은행, 올해 가계대출 3조원 줄였다 (0) | 2017.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