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연구팀은 오하이오 거주자 중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가족과 식사를 한다는 1만2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저녁시간 식사를 할 때 TV를 보지 않는다고 답한 사람들은 TV에 시선이 머문다고 답한 사람들보다 비만률이 37% 낮았다.
또 집에서 직접 요리한 음식을 먹는다고 답한 사람들은 외식을 하거나 밖에서 사온 음식을 먹는다고 답한 사람들보다 비만 위험률이 26% 낮았다.
항상 집에서 직접 요리하고 TV를 보면서 식사하는 일이 없는 사람은 47% 비만 위험률이 낮아 가장 건강한 식사습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두 가지 습관이 체중과 어떤 인과관계를 이루고 있는지 명확하게 증명하지는 못했지만 지난 연구들을 통해 볼 때 두 요인 모두 체중 조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TV에 대한 관심을 음식으로 돌려야 식사조절과 체중관리에 보다 유리해진다는 게 연구자들의 설명이다. 음식에 대한 관심과 집중이 높아질수록 불필요한 식사를 할 확률이 줄어든다.
또 집에서 직접 요리를 하는 사람들은 칼로리 섭취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지방과 설탕을 먹을 확률이 낮아진다는 게 존슨홉킨스대학교 보건대학원의 기존 연구 내용이다. 집에서 먹는다 해도 냉동음식이나 패스트푸드를 중심으로 먹으면 설탕과 지방 섭취량이 늘어난다.
즉 가급적 집에서 직접 요리하고, 스크린에 주시하지 않은 채로 식사를 하려는 두 가지 노력만 기울여도 체중 관리에 보다 유리한 식사를 할 수 있다.
'★세상사는이야기 > 건강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 사는 사람, ‘혼술’에 수면,비만 위험 (0) | 2017.05.04 |
---|---|
40대에 접어들었다면, 이 같은 운동을... (0) | 2017.05.04 |
호흡기질환 예방을 위한 면역력 강화법 (0) | 2017.05.01 |
일상에서 암을 유발하는 원인 (0) | 2017.04.30 |
왠지 피곤해...에너지 올리는 식품 (0) | 2017.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