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상은 아는만큼 보인다
  • 알게되면 보이나니
★세상사는이야기/생활정보

훨씬 좁아진 취업문…올 기업채용 6.6%↓

by 미운 오리 2017. 4. 18.
728x90
반응형

올해엔 직원을 채용하려는 기업 숫자가 예년보다 줄고, 채용 인원 규모도 감소하는 등 취업 시장의 체감 경기가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017년 신규 인력 채용 동태 및 전망 조사'를 통해 신규 채용에 나서겠다고 밝힌 기업의 비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인 53.7%까지 떨어졌다고 18일 밝혔다. 채용계획이 없다는 응답도 21%에 달해 2011년(9.9%)보다 배 이상 늘었다. 

이번 조사는 직원 100인 이상 기업 258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채용 규모 역시 전년에 비해 6.6%나 감소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4.4%)보다 축소폭이 더 커졌다. 



추천정보


경총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반짝 개선됐던 채용 기업 비율과 채용 규모가 최근 수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고용 시장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경기 한파가 중소기업에 더 심각한 영향을 끼쳐 규모가 작은 기업들의 채용이 더 큰 폭으로 줄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직원 수 100~299명 규모 기업의 채용 인원 감소폭은 14.8%로 직원 수 1000명 이상 기업들의 채용 규모 감소폭(3.9%)과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채용을 하더라도 신입직원보다는 경력직을 뽑겠다는 비중도 30%를 넘어섰다. 그만큼 새롭게 사회에 발을 내딛는 사람에겐 취업문이 더 좁게 느껴질 것으로 보인다. 

경력직 채용 비율은 조사가 시작된 2009년(17.3%)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올해 경력직 채용 비율은 전년 대비 1.6%포인트 올랐다. 경총 관계자는 "경력직 근로자의 경우 재교육 훈련비용이 들지 않고, 실무에 즉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경력직 채용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들은 채용에 나서지 못하는 이유로 '경기 침체에 따른 경영 실적 악화'(46.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21.2%), '정년 60세 시행에 따른 고용 여력 축소'(14%) 등도 신규 채용의 장애물로 지적했다. 


신규 채용 확대에 도움이 될 조치로는 '임금동결'이라는 응답이 47.3%로 가장 많았다.

임금동결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임금동결 및 대졸 초임 하향 조정을 통한 재원 마련'(19.6%), '임금체계 개편'(15.2%), '초과근로 축소를 통한 일자리 나누기'(12.5%) 등의 순으로 제시됐다. 다만 응답자의 43.8%가 '현 상황에서는 어떠한 조치도 신규 채용 확대에 도움이 안 된다'고 말했다. 경기 불황에 대해 일선 기업들이 느끼는 좌절감의 정도를 가늠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산업별 채용 규모는 제조업(-7.5%)이 비제조업(-5.2%)보다 더 크게 줄어들었다. 

댓글